전서진

I_AM_SEOJINIIIII

seojiniiiii@hanyang.ac.kr

The BATHCAVE

한국식 찜질문화의 건축적 해석

전서진 | 한양대학교 건축학부 졸업전시 Main Image

The BATHCAVE _ 한국식 찜질 문화의 건축적 해석

_

‘찜질’ 행위는 남고 ‘온돌’ 공간은 변화하였다.

_

INTRODUCTION

근대 이후, 대한민국의 급속한 산업화 시기 성행하던 찜질방은 사회의 변화와 함께 사라지고 있다. 하지만 ‘찜질’은 조선시대 한증막부터 이어진 독특한 한국 전통적 행위이며, ‘찜질방’은 전통 한옥이 아파트로 대체되고 온돌 공간이 사라지면서 생겨난 한국의 집단문화적 특성이 응집된 공간이다. 따라서 이 프로젝트는 찜질방에 대한 건축적, 기술적, 사회적 분석을 통해 한국의 전통 여가 및 문화 활동의 특성을 발견하고, 이를 현대적 방식으로 건축화하여 찜질방이 도심 속 전통적 공공공간으로서 새로운 역할을 가질 수 있도록 방향성을 제시하고자 한다. 이를 통해 ‘찜질’이라는 행위를 지속할 수 있는 새로운 온돌 공간인 ‘THE BATHCAVE’를 제안한다.

_

DESIGN PROCESS

먼저, 다양화된 개인의 기호와 공간이 행태에 주는 영향을 고려하여 찜질방 내 프로그램 간의 관계를 재구성하였다. 기존 찜질방에서는 방으로 분리되어 있던 찜질방을 하나의 공간으로 연결하고, 이를 자유롭게 드나들 수 있는 열린 공간을 외부에 연결하였다. 이러한 구성은 사용자의 움직임에 따라 적절한 온도 및 습도의 공간을 경험할 수 있고, 찜질공간과 마루 공간을 드나들며 대조된 분위기 속에서 각자의 방식으로 휴식이 가능하다.
또한, 현대화된 기술로 재해석된 ‘온돌’과 ‘구들장’의 원리를 찜질 공간에 적용하기 위해 열 분포 시뮬레이션을 사용하였다. 유체의 열역학적 특성을 고려하여 초기 형태를 구상하였고, 이후 시뮬레이션을 통해 최적의 온도 분포를 가진 공간을 형성하였다. 뜨거워진 공기가 상승할 수 있는 ‘부넘기’와 ‘고래’의 형태를 변화하며 다양한 온도, 습도, 스케일을 가진 공간을 연속적으로 경험할 수 있는 형태를 찾아냄으로써, 개인에게 알맞은 환경에서 휴식, 오락, 건강 등의 찜질 활동을 즐길 수 있도록 하였다.

_

CONCLUSION

이 프로젝트는 전통 건축에서 비롯된 찜질이라는 한국 고유의 문화적 특성을 이해하고, 이를 현대적 관점으로 재해석해 건축화했다는 의의가 있다. 이를 통해 한국 전통문화의 지속 가능성을 모색하고, 현대인의 삶 속에 전통문화가 자연스럽게 녹아들 수 있는 방안을 제안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