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지은

smoigoel_f

Smoigoelf_JieunKim@outlook.com

자연의 위협에서 자연과의 공존으로

메라피 화산지역의 지속가능한 방재 및 재생 건축 전략

김지은 | 한양대학교 건축학부 졸업전시 Main Image

“자연의 위협에서 자연과의 공존으로”를 지향하는 이 프로젝트는 인도네시아 메라피 화산 지역 주민의 안전과 지속 가능한 삶을 위한 다기능 재난 대응 및 생태 재생 건축 전략입니다. 반복되는 화산 분화와 용암 흐름으로 인한 피해를 완화하기 위해, 평상시에는 지역 주민의 생활과 경제를 지원하는 시장, 전시 공간, 버섯 재배 시설 등으로 사용되며, 분화 시에는 긴급 대피소로 전환되어 안전한 대피와 임시 거주를 가능하게 합니다. 특히 현지의 완만한 지형을 활용해 곡선형 램드얼스(Rammed Earth) 다층 흙벽 구조로 설계하여 용암의 흐름을 효과적으로 유도·차단하고, 분화 이후에는 구조물이 용암에 덮인 채 침식과 파내기 과정을 거쳐 버트레스 형태의 새로운 지형과 니치(niche) 공간으로 변모해 생태 복원과 기억 공간으로 재탄생합니다. 현지 재료를 적용해 지역 주민이 직접 시공과 유지 관리에 참여할 수 있도록 계획된 이 설계는, 단순한 방재를 넘어 재난 이후에도 지속 가능한 지역 재생과 커뮤니티의 회복력을 담아냅니다.
Aiming for “coexistence with nature in the face of its threats,” this project proposes a multifunctional disaster mitigation and ecological regeneration strategy for the safety and sustainable livelihood of residents in the Merapi Volcano region of Indonesia. To reduce the damage caused by repeated eruptions and lava flows, the design serves as a local market, exhibition space, and mushroom cultivation facility during normal times, supporting community life and the economy, while transforming into an emergency shelter during eruptions to enable safe evacuation and temporary housing. Taking advantage of the area’s gentle topography, the design features curved, multi-layered rammed earth walls that effectively guide and block lava flows. After an eruption, these structures remain buried under lava, eventually transforming through erosion and excavation into buttress-like new terrain and niche spaces that function as sites for ecological restoration and collective memory. By using local materials that allow residents to participate directly in building and maintenance, this project goes beyond simple disaster prevention to support sustainable regional regeneration and community resilience even after disaster strik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