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심형 인더스트리 플라자
수직 제조 공장 제안

과거 서울을 대표하던 성수동, 문래동, 청계천 제조공장들은 공업지역으로서 전성기를 누렸지만, 서울 도심의 제조시설은 서비스업과 첨단산업의 확산, 고밀도 주거 및 상업 개발, 환경 및 도시미관 개선 요구, 정책적 유도 등 여러 요인에 의해 점점 외곽으로 이전하거나 사라지고 있으며, 준공업지역이던 서울에 있던 공장이 남기고 간 흔적에는 카페(Cafe)나 음식점 및 다른 문화시설들이 들어서기 시작하면서 제조공장들은 점차 도심 외곽으로 밀려나거나 준비 없는 이전을 하고 있고, 이는 곧 제조공장들의‘흩어짐’을 뜻하며 이대로 내버려 두면 서울의 공장들은 갈수록 터전을 잃을 뿐만 아니라, 지탱해오던 밑단의 산업도 사라질지 모른다.
제한적 토지를 효율적으로 사용하기 위해 지식산업센터가 만들어졌으며, 경제적 혜택, 우수한 입지 조건, 편리한 시설, 비즈니스(Business) 협력 기회 등 다양한 장점을 제공하며, 중소기업, 스타트업(Start-up), 소규모 제조업체에 적합한 환경을 제공하며, 정부와 지자체의 지원을 받을 수 있다는 점에서 큰 이점을 가지기 때문에 소규모 사무실과 다양한 기업들이 많이 들어가 있지만, 기존 큰 제조공장의 공간 규모와 입주 적 한계로 인해 다양한 제조공장들이 입주하지 못하는 한계점이 존재한다.
본 연구를 통하여 서울 도심 지역에 제조공장을 활성화하기 위한 대안적 유형을 제시하는 데 목적이 있으며,‘인더스트리 플라자(Industry Plaza)’를 형성하여서 다양한 제조산업들이 입주할 수 있는 환경을 만들어 제조산업 공간의 사회적 단위를 재구성하는 제조공장을 중심으로 한 ‘인더스트리 플라자를’ 제시한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기존 제조공장시설의 진화 과정을 살피고, 기능적 구성 방식과 지역사회의 관련성을 알아보며, 현재 제조공장들의 문제점들에 대하여 개선 방안을 고찰해 봄으로써 앞으로 수직 제조공장의 새로운 방향을 제안해 보고자 한다.
주제어 : 제조 산업, 제조 환경, 수직 공장, 인더스트리 플라자(Industry Plaza)



























